본문 바로가기
국가별 정보

FDC vs UDC 정의 및 비교

by ttungbazoe 2025. 6. 20.
728x90

FDC(Fixed Duration Contract)와 UDC(Undetermined Duration Contract)는 근로계약의 기간에 따라 구분되는 두 가지 유형입니다. 주로 **동남아시아 국가들(특히 캄보디아, 베트남 등)**에서 자주 사용하는 개념이지만, 글로벌 인사관리에서도 널리 사용됩니다. 아래에 각 계약의 의미와 차이점을 정리해 드립니다.

🔹 1. FDC (Fixed Duration Contract) : 정해진 기간이 있는 계약

  • 일정 기간 동안 유효한 계약으로, 계약 기간이 명시되어 있습니다.
  • 일반적으로 6개월~2년 기간으로 설정되며, 종료일이 명확히 정해져 있습니다.
  • 계약 만료 후 자동 종료되며, 연장하려면 재계약이 필요합니다.

특징

항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내용
계약 기간 명확하게 설정 (예: 1년)
종료 시점 계약서에 명시된 날짜
연장 시 새로운 FDC 계약 체결 필요
해지 조건 기간 만료 외 해지 시 특별 사유 필요 (예: 징계, 회사 사정 등)
보편적 용도 계약직, 프로젝트 직원, 수습 기간 직원 등

🔹 2. UDC (Undetermined Duration Contract) : 기간이 정해지지 않은 무기한 계약

  • 계약 기간이 특정되지 않아 종료일이 없는 상시 고용 계약입니다.
  • 일반적으로 수습기간을 거친 후 FDC에서 UDC로 전환되며, 정규직 개념에 해당됩니다.
  • 계약 종료를 위해서는 해고, 사직 등의 공식 절차가 필요합니다.

특징

항목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내용
계약 기간 명시되지 않음 (무기한)
종료 시점 해고, 퇴직, 합의 등으로 종료
연장 시 필요 없음 (계속 유지)
해지 조건 노동법상 해고 사유, 해고 통보 기간 필요
보편적 용도 정규직, 장기 근속 예상 직원 등

🔄 FDC vs UDC 요약 비교

구분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FDC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UDC
계약 기간 정해져 있음 무기한
종료 방식 기간 만료 또는 특별 사유 해고, 사직 등 정당한 사유 필요
고용 안정성 낮음 (재계약 필요) 높음 (계속 근로 보장)
해고 절차 상대적으로 간단 법적 보호 강함, 복잡한 절차 필요
전환 여부 일정 조건 충족 시 UDC로 전환 가능 해당 없음

🔸 실무 팁 (캄보디아/베트남 기준)

  •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FDC를 연속 2~3회 체결 후에는 UDC로 전환해야 합니다. (예: 캄보디아 노동법상 FDC 2년 이상 연속 사용 불가)
  • UDC 근로자의 해고는 매우 신중해야 하며, 노동청 승인 또는 합당한 사유가 필수입니다.